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졌으면 해요

소통은 모든 것을 의미하는 단어이지만 동시에 그 무엇도 표현하지 못하는 단어입니다. 소통을 하려면 도대체 무엇을 해야 할까요?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졌으면 해요

한때 프로젝트 포스트모템은 프로젝트 하나를 마치고 나서 수행했던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를 런칭하거나 프로젝트가 중단되면 모여서 포스트모템을 하곤 했는데 한번은 프로젝트가 중단된 다음 프로젝트에 속한 여러 부서의 부서장님들이 각자가 생각하는 실패 원인을 정리해 와 여러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는 자리를 가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충 생각해도 예상할 수 있듯 프로젝트에 참여한 말단 스탭들이 생각하는 실패 원인과 부서장님들이 생각하는 실패 원인은 서로 거리가 있었고 또 부서장님들의 정치적인 입장 상 그들 역시 이미 눈치 채고 있었을른지도 모르는 프로젝트 중단에 큰 영향을 준 구체적인 원인을 여러 사람들 앞에서 제대로 이야기하기는 어려웠을 겁니다. 발표하는 사람들 각각이 처한 상황 때문에 의미 있는 발표를 하고 또 다음에는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방법을 고안하는 생산적인 단계에 이르지 못했다는 것 자체는 회사 생활 하는 사람 입장에서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런 발표를 할 작정이었다면 미리 예고를 좀 해서 거기 가서 앉아 있었던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 편이 더 나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포스트모템은 말 그대로 환자가 사망한 다음 부검을 통해 사망 원인을 알아내는 과정이어서 프로젝트가 중단된 다음 프로젝트의 중단 원인을 살펴보는 과정을 부르는 이름으로는 적당해 보입니다. 그런데 현대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프로젝트 단위의 이벤트가 아니더라도 적당한 마일스톤 이벤트가 지나가기만 해도 포스트모템이라고 부르는 과정을 거치는 것 같습니다. 의도는 이해하지만 이 용어의 시작을 생각하면 아직 멀쩡한 프로젝트와 방금 지나 온 마일스톤 이벤트를 부검하려는 시도는 거기 참여할 때마다 약간 멈칫 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의도를 알고 있기에 지난 마일스톤을 수행하며 잘 한 일과 그렇지 않은 일, 문제라고 생각하는 사례와 이로 인해 발생한 손해, 앞으로 같은 문제를 겪지 않을 방법 따위를 서로 이야기하는 것은 건강한 팀과 프로젝트를 만드는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