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트폴리오 문서의 독자 고려 전략

포트폴리오 문서의 독자 고려 전략

글을 쓰기 시작하면서 고려한 제목은 ‘대체 포폴에 무슨 이야기를 써 낼까’였는데 아웃라인을 쓰고 나서 제목을 ‘포트폴리오 문서의 독자 고려 전략’으로 바꾼 다음 두 제목의 온도차가 너무 커서 웃겼는데 사람들을 낚는 관점에서 바꾼 제목을 유지하려고 하니 미리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항상 트위터에서 쿨타임 되면 지나가는 주제 중 하나에는 게임 업계에 처음 진입하려고 할 때, 혹은 업계 내에서 이직 하려고 할 때 포트폴리오를 어떻게 작성해야 할 지 전혀 모르겠다는 내용입니다. 학교 커리큘럼을 충실히 이행해 온 사람 입장에서 난데 없이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면 지금까지 이런 소리를 제대로 들은 적도 없고 다른 포트폴리오를 볼 일도 없었으며 혹시 포트폴리오를 본다 하더라도 그게 올바른 방법인지 아닌지 판단하기도 어려울 수밖에 없습니다. 어떤 분들은 때때로 유명한 상용 개발환경에서 뭔가를 만들어 보기도 하고 기획서를 바닥부터 작성하기는 어려우니 다른 게임의 소위 역기획서를 써 보기도 하지만 이런 자료를 포함한 포트폴리오가 적당한 것인지 아닌지 알 방법은 사실상 없어 보입니다.

지난 이직 때도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어려움에 투정을 부린 적이 있고 실제 개발로 연결되지 않을 구직에 사용하기 위해 작성하는 이른바 포트폴리오용 기획서 작성에 대한 가혹한 의견을 보고 포트폴리오 기획서는 의미 없지 않아요 라고 말한 적도 있었으며 합격한 포트폴리오 모아 놓은 곳이 있느냐는 질문에 꽤 동의한다는 의견을 말한 적도 있습니다. 오히려 처음 이 업계로 옮겨 올 때는 뭣 모르고 아무렇게나 작성한 포트폴리오가 그냥 운이 좋아서 통과된 다음부터는 이전까지 했던 일을 어떻게 이리 저리 끼워 맞춰 작성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게임디자인 입장에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것은 아주 아주 아주 아주 아주 아주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은 타임라인을 지나가다가 여러 게임의 역기획서와 여러 분야의 기획서, 작은 개발 경험 등을 갖추고 계시지만 아직 기회를 찾지 못하신 분의 고민을 보게 됐는데 문득 개인적인 관점에서 회사에 나를 광고하는 문서를 내고 그 문서가 회사의 관심을 끌기 위한 전략을 정리해 두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이야기 했듯 게임디자인 입장에서 포트폴리오 문서를 만들기 쉽지 않은 이유는 뭔가 정형화된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문서를 검토하는 입장에서도 문서를 검토할 기준을 정립하기는 아주 어렵습니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서 소위 ‘'이 오는 문서와 이를 작성한 분을 찾아내는 스킬이 생기긴 하지만 이를 깃헙 리파지토리 주소, 좋은 코딩 스타일, 다양한 프로젝트에 기여, 기술에 대한 관심사처럼 직접적인 요구사항으로 정의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는 ‘개인적인 기준에 불과하다’는 제한을 걸고 신입이든 이직이든 포트폴리오를 작성할 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고려할 만한 점, 그리고 스스로가 서류를 검토할 때 관심을 가지는 점 등을 설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