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브배달은 배달원에게 이익인가?

음식 배달 앱의 주문 옵션 중 하나인 세이브 배달은 분명 단위 시간 동안 수익을 올려 주지만 동시에 업무 난이도를 함께 올려 모든 측면에서 이익은 아닐 수 있습니다.

세이브배달은 배달원에게 이익인가?

오래 전에 지나가다가 다른 분이 쓰신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김밥 가게에서 계란김밥을 시켰는데 김밥을 만드는 과정을 보니 계란물을 만들어 김처럼 얇고 넓게 익힌 다음 그 위에 김밥 속을 얹어 말아 만들었다고 합니다. 보통 김밥은 바로 김 위에 김밥 속을 얹어 말아 완성하는데 비해 계란김밥은 일단 겉을 만드는데 시간과 수고가 필요했고 완성하는데 훨씬 긴 시간이 필요했는데 가격은 일반 김밥과 그리 큰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가격은 원자재 가격과 제조에 필요한 시간과 노력에 기반해 책정하는 거라고 생각했지만 그 김밥 가게에서는 주로 원자재 가격에 집중한 가격 책정 정책을 사용하고 있는 모양이었다고 합니다. 사실 가게 입장에서 김밥마다 너무 큰 가격 차이를 두기는 쉽지 않았을 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분명 만드는데 훨씬 긴 시간과 더 큰 노력이 필요한 메뉴라도 합당한 가격을 설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주아주 오래 전에는 게임 패키지 풀 프라이스 가격이 3만 몇천원이던 시대가 있었는데 사실 그 시대에는 그 가격도 상당히 부담스러웠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5만원 짜리 게임이 나타났고 시간이 흐르면서 6만원 짜리 게임이 나타났지만 여전히 이들은 가장 비싼 게임 중 하나에 속할 뿐이었습니다. 현대에 가까워지며 가장 유명한 게임들은 이제 7만원에서 시작하는 사례가 나타났고 또 게임의 각 부분을 나눠 별도로 판매하기도 하며 게임을 여러 에디션으로 나눠 가장 싼 버전은 여전히 7만원 수준이지만 가장 비싼 에디션은 10만원을 넘는 가격에 판매하기도 합니다. 이런 가격 정책은 무척 의미 있다고 생각하는데 같은 게임에 더 큰 돈을 낼 의사가 있는 고객에게 더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며 그에 따른 돈을 받지만 그럴 의사가 없으면서도 게임 자체를 플레이 하고 싶은 고객에게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게임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러는 사이에 게임 자체는 무료에 가깝게 제공하면서도 게임 속 다양한 경험에 필요한 시간이나 자원을 줄여 주는 방식으로 경험의 밀도를 올리기 위해 아주 작은 비용을 자잘하게 지출하게 만드는 게임들도 나타났는데 현대에는 이런 방식으로 과금하는 게임들이 큰 경제적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