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더 오래 살아남는 편이 낫다
단기적으로는 머릿속에서 일에 대한 생각을 멈추지 않고 열정을 불태워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한번은 타임라인을 훑다가 일터에서 하던 생각을 일터를 벗어나서도 이어서 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대한 의견을 읽었습니다. 여러 매체에서는 일터에서 하던 생각은 일터에 남겨 두고 일터를 떠나면 일 생각을 멈출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곤 합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같은 사람이 일터에서 하던 생각을 단지 그 장소를 떠난다고 해서 즉시 멈출 수 있지도 않으며 일터에서 하던 생각을 일터 밖에서도 계속해 일터 밖에서 일에 대한 생각을 멈춘 사람들에 비해 장기적으로 우위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보면 맞는 이야기이기도 하고 또 틀린 이야기이기도 한데 이 두 가지 관점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을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어릴 때는 일터에서 하던 생각을 일터 밖에서도 계속해 다음에 일을 계속할 때 우위를 점하는 상태가 올바르다고 생각했습니다. 일터 밖에서 겉으로는 일하고 있지 않았지만 적어도 머리 속으로는 어느 정도는 항상 일하고 있었고 고민거리에 대한 여러 가지 생각을 해 본 다음 그 중 내일 이어서 해볼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을 미리 정리한 상태로 다음 날 출근해 거기부터 일을 계속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는 딱히 효율적이지 않았던 것 같지만 시간이 좀 지나자 여러 사람과 함께 일을 할 때 이미 어제 밤에 생각해 보고 문제가 있다는 사실 까지 미리 생각한 상태에서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하다가 같은 주제가 나오면 여기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시간이 좀 걸리기는 했지만 비슷한 일이 반복되자 집에 가서 생각해 온 결과를 이야기할 때 나름 신뢰를 얻어 이전에 비해 조금씩 비슷한 상황에서 일하기 편해지기도 했고요.
하지만 다시 두 가지 이유로 이 상태는 지나친 상태까지 진행됐는데 사실상 퇴근한 다음 적어도 머릿속으로는 계속해서 일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몸은 쉬고 있었지만 머릿속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어느 순간 다음 날 출근해서 일 하려고 보면 잠도 잘 잤고 밥도 잘 먹었는데 이상하게 피곤하고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은 상태를 자주 겪었습니다. 이로부터 시간이 아주 많이 지난 다음에야 이 상태가 머릿속이 제대로 쉬지 않아 문제가 생긴 상태라는 사실을 알았지만 당시에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이런 나날이 계속되자 사람들에게 종종 신경질적으로 굴기 시작했는데 이미 생각해서 답 나온 주제에 대해 똑같이 다시 설명하고 다른 사람들이 생각에 따라올 수 있도록 설명하는 과정을 반복하다가 문득 이게 무슨 짓거리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그러면 절대 안 되는 거였는데 여기까지 생각이 진행되지 않은 분들, 또 생각에 따라오게 만드는데 다른 분들보다 더 어려움을 겪던 분들께 짜증을 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열정이 없는 사람들과 일하는 게 너무 힘들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