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부터 함부로 초과근무 하면 안돼요

새 마일스톤이 시작될 때 기획팀은 다양한 압력을 받습니다만 함부로 압력에 응하면 프로젝트 전체의 성공 가능성을 낮추게 됩니다.

기획부터 함부로 초과근무 하면 안돼요

새 마일스톤이 시작된 지 어느새 한 달이 지났습니다. 여러 높은 분들은 새 마일스톤을 시작하자 마자 프로젝트 구성원 모두가 이번 마일스톤의 목표를 깊이 이해하고 전력 질주 하기를 원하는 것 같아 보일 때가 많지만 항상 반드시 무조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일단 지난 마일스톤 목표를 급하게 달성하기 위해 실제 미래에 우리가 도달해야 하는 지점과는 아무 관계 없는 의사결정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미래의 시간을 끌어다 쓴 코드, 미래에 사용했어야 할 자금과 에셋을 미리 끌어다 쓴 결과 이를 수습하기 위한 새로운 계획 따위를 준비하기 위해 마일스톤을 시작하자 마자 바로 개발을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어떤 훌륭한 팀들은 마일스톤이 끝나면 다음 마일스톤을 명시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어느 마일스톤에도 속하지 않는 기간을 두고 그 사이에 각자가 정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일들을 수행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기간이 필요하다고 여러 번 주장해 봤지만 이를 인정하는 사람을 단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새 마일스톤 초반에는 새로운 계획에 따라 기획서를 준비하는데 시간을 보내고 이렇게 기획팀으로부터 나가는 요구사항이 없는 틈을 타서 다른 부서들은 급하게 요구사항을 달성하느라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싸 놓은 똥을 치우며 기획팀에서 쌀 그 다음 똥에 대비하곤 합니다. 하지만 근미래에 맞이할 마일스톤 마감 기간에 다시 똑같이 미래를 고려하지 않는 의사결정과 황급한 마무리를 반복할 것을 걱정해 마일스톤 시작할 때 기획서가 완성되어 있으면 좋겠어요 같은 요구사항 혹은 불만을 기획팀에 표출하기도 합니다.

한때는 이런 불만 표출을 받을 때 너무 죄송하고 미안하고 형편 없는 기획팀이어서 부끄러웠지만 시간이 지나며 다음 마일스톤 기획서를 미리 쓰는 계획은 왜 항상 실패할까를 고민해 봤고 우리들이 처한 상황 속에서는 마일스톤이 시작되자 마자 프로젝트 전체가 마일스톤 목표를 향해 움직이게 만들 방법은 없거나 거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그 다음부터는 ‘그럼 마감 테스트를 우리가 하면 안되죠’ 라든지 ‘그럼 그 컨텐츠 개발을 우리가 하면 안되죠’ 라든지 ‘그럼 우리가 운영을 하면 안되죠’ 처럼 기획팀의 일로 느껴지지 않지만 실제로는 기획팀이 수행하고 있는 온갖 실제 업무를 들먹이며 마일스톤 시작하기 전에 준비는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뻔뻔하고 또 적극적으로 어필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