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이 약한 사람의 컴퓨터 사용
세계는 시력이 나쁜 사람을 거의 배려하지 않지만 현대의 정보기술을 활용해 이전 보다는 좀 더 살기 편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의 배려에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지난주 멜라닌이 없는 사람의 여름나기에서 염색체 이상으로 멜라닌이 없거나 아주 적은 특성은 나쁜 시력과 함께 나타난다고 소개했습니다. 이런 정보를 직접 찾아본 것은 아니었는데 오래 전에 광화문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 동이 터 올 시간까지 시간을 보낼 때 저와 비슷한 분을 두 분 만났습니다. 한 번도 본 적 없는 분들이었지만 딱 보는 순간 거의 같은 속성을 공유하고 있는 것 같아 보입니다. 한 번은 다른 분이 저에게 말을 걸었고 다른 한 번은 제가 다른 분께 말을 걸었는데 결국 겉모양 말고도 나쁜 시력이라는 특성을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런 특성이 어느 정도 확률로 나타나는지는 여전히 잘 모르지만 비슷한 장소에 거의 같은 유전적 특성을 가진 사람이 적어도 세 사람이 모일 수 있다는 점이 무척 재미있었습니다.
어느 날 타임라인에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 글자 크기를 키우면 웹사이트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게 되는 체험에 대한 글을 읽었는데 시력이 나쁜 사람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소개해 보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예로부터 적어도 한국에서는 ‘모든’ 시스템이 평균적인 사람에 맞춰져 있고 이 평균 근처에 있지 않은 사람을 의도적이든 그렇지 않든 손쉽게 배제하곤 하는데 어릴 때부터 봐 온 컴퓨터를 사용하는 바른 자세, 책을 읽는 바른 자세 그림이 대표적입니다. 의자 등받이에 허리를 대고 꼿꼿이 앉은 다음 고개를 아주 살짝 숙이고 책상 위에 양 손으로 살짝 들어 올린 책을 읽는 자세를 설명하는 그림은 그 자체로는 꽤 그럴싸해 보였지만 도저히 따라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림에는 책과 눈 사이 거리를 몇 십 센티미터로 유지하라는 설명이 포함되어 있었는데 실제로 그 자세를 취해 보면 책은 종이와 글씨가 완전히 뭉개져 전혀 읽을 수 없는 희미한 자국으로밖에 보이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