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뱅이의 버전관리 서버 운영
개인용 버전 관리에 사용하는 퍼포스는 예상보다 비싸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꼼수가 필요해졌습니다. 꼼수 없이 사용하기에 지금은 너무 가난합니다.
이전에는 온라인에서 여러 역할을 처리해 주고 있는 장난감 서버 비용을 크게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이 서버는 돌고 돌아 퍼포스에서 소개한 forgejo라는 개인 깃 서버를 구동하기도 하고 또 자동화 도구 n8n 사용기에서 소개한 n8n이라는 자동화 도구를 구동하고 있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모니터링 소프트웨어인 uptime kuma를 돌리기도 하고 오픈서치로 시작한 임시변통 로그 집계 환경에 사용한 MariaDB 데이터베이스를 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모두를 합쳐도 AWS Lightsail의 램 2기가, 스토리지 60기가짜리 서버로도 훌륭하게 구동되었으며 비용은 월 10달러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이 비용에는 네트워크 전송 비용이 포함되어 있어 정말 딱 10달러만 내면 이 모든 서비스를 편안하게 구동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돌고 돌아 퍼포스에서 아무래도 제 개인적인 버전 관리 용도에는 깃이 어울리지 않으며 깃을 아무리 개인 서버에 설치해 여러 가지 제한을 없앤 다음 사용한다 하더라도 깃은 큼직한 바이너리 파일의 안정적인 버전 관리를 원하는 제 요구사항에 별로 적합하지 않았습니다. 회사에서는 이미 결정되었으니 어쩔 수 없이 언리얼 프로젝트에 깃을 사용하고는 있지만 커다란 바이너리 파일을 커밋하며 온갖 이상한 문제를 겪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화가 나는 지점은 바이너리 파일을 커밋하는 사람들은 주로 엔지니어가 아니기 때문에 트러블슈팅 상황은 비 엔지니어들에게 일어나 불편을 겪지만 정작 엔지니어들은 대부분 코드를 커밋하고 빌드를 돌린 결과물인 바이너리는 CI 서버가 커밋하므로 이들은 트러블슈팅 상황을 거의 겪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이들은 형상관리도구를 결정할 권한을 가지고 있어 언리얼 개발에 깃을 선택했고 비 엔지니어 직군에 일어나는 온갖 트러블슈팅 상황에 대처할 뿐 근본적인 문제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 것 같아 보입니다.